2025년까지 서비스업 일자리 30만개 창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2025년까지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현 60%대 초반에서 65%까지 높이고 서비스업 분야 30만개의 양질의 새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메가 트렌드 전환을 도약의 계기로 삼아 서비스산업발전 4+1 추진전략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가속화된 비대면, 디지털 전환에 적기 대응 지원을 위해 2025년까지 중소 영세상점 10만곳, 중소기업 1350곳에 스마트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활용 서비스기업에는 2조원의 우대 보증을 지원한다.  

방역 안정을 전제로 서비스업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문화·숙박·외식·스포츠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300만명을 대상으로 8대 바우처·쿠폰 지원도 준비할 계획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기초 인프라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 서비스 연구개발(R&D)을 2025년까지 5년간 7조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보건의료·콘텐츠 등의 해외 진출을 위해 향후 5년간 20조원 이상 수출금융을 지원한다.

관광·물류·금융 등 성장성이 높은 8개 분야 고부가 가치화를 중점 지원하고, 관광 분야 창업 초기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3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할 방침이다.

화물 신속 처리를 위해 자동화 설비를 갖춘 스마트 물류센터를 250곳으로 확충하고, 맞춤형 투자를 지원하는 핀테크 혁신펀드를 5000억원까지 확대한다.

이와함께 음식·도소매 등 분야의 고도화를 위해 가상현실(VR) 지도 등을 활용한 디지털 전통시장을 500곳 조성하고, 빅데이터 기반 경영컨설팅 대상 업종도 5개에서 30개로 넓힌다.

홍 부총리는 “서비스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1년 12월 첫 제정안 발의 후 10년간 발의와 폐기를 거듭하며 국회에 계류 중인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제정안을 3월 임시 국회에서는 반드시 통과시켜 달라”고 호소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항공산업 코로나19 위기극복 및 재도약 방안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는 그동안 항공업계에 3조원 이상 정책 금융을 제공하고, 공항시설사용료 1조원 감면 등을 지원했으나 여객이 98% 감소하는 등 여전히 힘든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위기를 이겨내고 항공업계 재도약을 위해 단기적 위기대응 및 수요회복 전략과 중장기적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대책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이를위해 정부는 공항시설사용료 감면을 올해 6월 말까지 연장 조치하고, 3월 종료 예정인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기간 연장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또 경쟁력 있는 중견 저비용항공사(LCC)가 일시적 자금 애로를 겪을 경우 유동성 추가지원도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항공 수요 회복을 위해 방역상황을 전제로 출입국 제한 완화 등을 위한 ‘트래블 버블(비격리 여행권역)’ 협약 체결을 추진하고 검역관련 증명서를 디지털 형태로 인증하는 앱 기반 트래블패스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또한 현재 시행중인 내국인의 해외 무착륙 국제관광비행 뿐만 아니라, 외국인의 국내입국 없는 인바운드 무착륙 국제관광비행도 허용한다.

아울러 항공사업법 등을 개정하고, 이후 항공산업발전조합을 설립해 항공보증·발전 펀드 조성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 

회의에서는 올해 농수산식품 수출 확대전략도 논의했다.

홍 부총리는 “지난해 우리 농수산식품 수출은 건강·발효·간편식품 등의 수요 증가와 한류 연계 마케팅 등에 힘입어 역대 최고 수준인 98억9000만 달러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농수산 식품 수출 100억 달러 시대를 활짝 열도록 비대면 중심의 수출환경 대응 및 신시장 개척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홍 부총리는 “올해 중 글로벌 대형 온라인몰에 한국 농수산식품 전용관 10곳을 개설해 300여개 기업의 e-커머스 진출을 지원하겠다”며 “인삼, 음료 등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신남방·신북방 국가로의 수출 저변 확대를 위해 싱가포르·태국·러시아 등 유통 플랫폼도 적극 진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건강관심, 편의선호 등에 부응하도록 김치, 장류, 조미김 등 간편식품 중심의 상품개발 및 수출지원에도 역점을 둬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US BUSINESS NEWS TV,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prohibited>

Steven Han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