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지역경제 활성화…우리동네 ‘마을기업’

전국 1592곳 운영 중…식품·홈패션·유기농 제품 제조 및 판매…교육·체험 활동까지
평균 1억 1000만원 매출·직간접 일자리 12.9명 창출…현금·재능기부에 자원봉사도

‘지역’ 주민들이 ‘지역’자원을 활용해 ‘지역’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공동체 이익을 실현하는 곳, 바로 ‘마을기업’이다.


2019년 6월 현재 전국 1592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마을기업에서는 일반·전통식품을 비롯해 공산품, 홈패션, 유기농 제품의 제조·판매와 카페, 교육, 체험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평범한 주민은 물론 어르신, 독거노인, 발달장애인, 중증장애인, 미혼모, 귀촌 청년,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 등 각양각색의 주민들을 고용해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한다.  


마을기업의 시작은 2011년으로 거슬러간다. 당시 행정안전부가 2010년에 시범도입한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을 안정적 일자리창출에 중점을 둔 ‘마을기업’으로 변경하면서부터다. 


행안부는 첫 해에 총 385개의 마을기업을 선정하고 매년 최소 100개 이상, 많게는 300개 이상을 선정하면서 지역 풀뿌리형 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안정적 일자리를 창출하는 마을사업을 펼쳤다.


이렇게 근 10년동안 육성되고 있는 마을기업에 행안부는 최대 3년 동안 1억원을 지원해 경제적 자립을 돕고 있는데, 정부의 지원과 마을기업의 노력 덕분으로 매년 신규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지역의 경제적 기반 등을 차곡 차곡 쌓아가고 있다.


특히 행안부는 판로 부족과 낮은 브랜드 인지도로 어려움을 겪는 마을기업의 안정적 성장 기반 확충을 위해 참여기업 간 상호 연계·협력·소통을 통한 판매와 판로개척, 홍보·마케팅 등을 위해 전국 6개소에 유통지원센터 설립을 지원했다.


이렇게 꾸준히 성장해온 마을기업은 1개 기업 당 평균 매출액 1억 1000만원과 직·간접 일자리 12.9명 창출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지역사회에 연평균 29억원 상당의 현금·현물 기부 및 143억원 상당의 재능기부·자원봉사 등의 공헌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농특산물 판매 등의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 회복과 취약계층 돌봄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있다는 점은 마을기업만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마을기업은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서 신청하면되는데, 다만 지역성과 공동체성·공공성·기업성 등 4개의 설립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회원 70%이상이 지역주민이면서 지역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야 하며, 마을기업이라는 명칭처럼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이익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얻을 수 있는 공동체성 이익을 추구하고, ‘마을’ 기업인 만큼 지역내부에 상호관계와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지역주민 5인 이상이 출자한 법인으로 농촌지역은 ‘읍·면’, 도시지역은 ‘구’를 기본으로 하고 기업의 운영에 대한 모든 절차에는 공동체가 참여하고 결정해야 한다.


이렇게 마을기업의 조건을 갖춘 후 매년 10월 전후로 해당 시·도가 주관하는 신규 마을기업 공고에 지원하면 지자체와 행안부 등의 심사와 현장확인 등을 거쳐 선정된다.


한편 2019년 6월 기준으로 전국 마을기업은 도 지역에 1085개(68%), 특·광역시에 507개(32%)가 있고, 업종은 일반식품(43%)과 전통식품(14.4%)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업종은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로 지난해에는 일반식품(39.9%), 교육(10.1%), 전통식품(9.1%), 관광·체험(8.4%), 문화·예술(8.4%) 등이 지정되었다.


또한 마을기업 법인은 영농조합법인(39.6%)이 높은 비율이지만 협동조합이 계속 증가해 2016년 19.8%에서 지난해는 26.1%를 차지했다.


마을기업은 기업경영 뿐만 아니라 지역일자리 창출 등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와 약자 배려, 공유 경제, 지역과 상생, 지역문제 해소,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이 주요 역할이다. 


먼저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표적인 마을은 전남 여수의 송시마을로, 이 곳은 폐교를 리모델링해 농촌체험교육을 진행하고 오란다 등 전통식품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그러면서 지역주민을 고용해 연 매출 18억원을 기록했고, 판로확보가 어려운 지역농가로부터 농산물 3억 2000만원을 매입하는 등 지역경제에 보탬이 되고 있다.


전북 완주의 비봉우리콩두부 영농조합법인은 민들레, 삼채, 부추 등 농산물을 재배하고 농촌 체험마을을 운영하는 기업인데, 독거노인과 발달장애인을 고용한 공동농장을 운영하고 지역 농산물을 매입하는 등 지역과의 상생을 이루고 있다.


인천 계양의 (주)아모르카페 또한 취업이 어려운 20대 이상 중증장애인 61명을 고용해 장애인 가족 간의 공동체 조직을 결성한 마을기업이다.


지역문제 해소에 힘쓰고 있는 마을기업 중 하나인 대구 달서의 아가쏘잉 협동조합은 홈패션 및 유아동용품을 생산·판매하는 곳으로, 미혼모에게 일자리를 마련해 주면서 미혼모 대상 교육훈련 등으로 지역문제로 남아있던 미혼모의 경제적 자립과 공동체 결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밖에 경기 용인의 용인마을협동조합은 조합원을 107명에서 281명으로 늘려 지역축제와 김장나누기 등 지역교류 활성화에 힘쓰고 있고, 부산 동구의 (주)이바구캠프는 청년과 지역주민이 함께 지역공동체를 결성해 지역내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생하고 있다.


한편 행안부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공헌활동 및 지역문제 해결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우수마을기업을 매년 선정(2019년까지 118개소)하고 있으며 올해도 10개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5월에는 제품의 경쟁력, 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모두愛 마을기업’을 추가 선정했는데, 영농조합법인 푸루른(경북), 콩사랑(전북), 하늘농부 영농조합법인(충북), 아낌없이주는나무(울산), 농업회사법인 송시마을(전남) 등이 영광을 차지했다.


아울러 이들 기업에는 HACCP 인증, 제품개발·판로확보 등 컨설팅, 시설확장, 홍보 등의 사업개발비 1억원(자부담 10%)과 유통업체 입점 등으로 보다 건실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행안부는 마을기업의 인지도를 높여 사회적 가치를 공유·확산할 수 있도록 마을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강화하는 ‘마을기업육성지원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 법안은 지난 6월에 18명의 국회의원이 발의한 것으로, 마을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지역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을 통한 주민의 삶의 질 보장 및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는 내용이다. 


아울러 지난 15일 전북 완주의 마을기업 현장을 찾은 진영 행안부 장관은 “마을기업이 지역경제와 마을공동체의 활성화에 실질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지역사회에 많은 도움이 되고 다른 지역에 본보기가 되는 마을기업이 앞으로도 적극 발굴돼 지역발전에 보다 많이 도움되기를 기대한다.

<Copyright © US BUSINESS NEWS TV,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prohibited>

Dennis Han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