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를 적다- 홍일표 시집 (민음사 )
중세를 적다- 홍일표 시집 (민음사 )
책소개
나를 잃은 채 세계를 읽는 시의 희열
다시 나로부터 시작되는 세계의 빗소리
꾸준한 작품 활동으로 자신만의 시적 영역을 구축해 온 홍일표 시인의 신작 시집 『중세를 적다』가 민음의 시 280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세계에 대한 독해가 불가능하다는 직관을 ‘불립문자’로 쓴다. 세계를 알 수 없음을 고백하여 삶에 대한 이해로 다가든다. 이해 불능의 세계에서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과 고독은 그 알 수 없음을 알아 버린 세계에 진입해서야 삶으로의 의지로 몸피를 바꿀 수 있다. “무궁한 세계의 아침과 저녁”을 불러오고 “수백 년 전 깨진 얼굴, 불타 버린 심장”을 다시 오게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우리는 다시 살게 된다. 독해할 수 없는 세상을 시의 언어로 비추면서. 그리하여 깊고 조용한 희열을 느끼면서.
저자
홍일표
저자 : 홍일표
저자 : 홍일표
1988년 《심상》 신인상과 199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살바도르 달리풍의 낮달』 『매혹의 지도』 『밀서』 『나는 노래를 가지러 왔다』와 청소년 시집 『우리는 어딨지?』, 평설집 『홀림의 풍경들』을 펴냈다. 지리산문학상, 시인광장작품상을 수상했다.
목차
1부
낙타 13
정물화 15
계동과 가회동 사이 16
중세를 적다 18
낮꿈 20
숯 너머 동백 22
코끼리傳 2 4
가릉빈가 26
본색 28
묵음 30
질문 32
너 34
송전탑 35
낚시꾼 36
꽃의 본적 38
나무의 영역 40
2부
의문 45
Y 47
병 48
북극 50
사라진 문자 52
다리의 처음 54
오리배를 읽는 시간 56
그날 58
푸른 코끼리 60
금요일 62
불멸의 사전 63
열쇠 64
화석 66
서쪽의 우산 68
암각화 70
숨은 천사 72
만신 73
3부
다른 형식의 새 77
당신의 컵 79
폭설 80
죽은 인형 82
시 84
방언 86
보라의 방향 88
모과 90
저녁이라는 물질 92
202호 남자 94
독무 96
어느 날의 오후 98
벌새 100
텍스트 92
4부
빵의 양식 105
없는 말 107
픽션들 108
소리의 행방 110
얼음장을 읽다 112
징후들 114
어떤 날 116
돌사자 118
붉은 날 120
클릭 122
빗소리 경전 124
입구 126
설원 128
이상한 오후 130
작품해설
불립문자를 향유하는 시간 133
출판사서평
■ 세상의 절망과 시 쓰기의 희열
돌도 나뭇잎도 아닌
하느님도 나비도 아닌
너였다가 너의 미래였다가
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인
다만 지금은 황홀한 한때
-「화석」에서
홍일표의 시에서 시적 주체인 ‘나’는 자주 사라지거나 최소한 희미해진다. 아무것도 아닌 나는 또한 그 무엇이라도 될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성을 지닌다. 코끼리가 되고 돌사자가 된다. 사라진 문자가 되고 야생의 어둠이 된다.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를 아무렇지 않게 오가는 ‘나’는 그러나 마냥 평안하고 자유로운 상태에 놓인 것은 아니다. 무엇이든 될 수 있기에 무엇이든 볼 수 있고, 무엇이든 볼 수 있기에 그 모든 것을 받아 적어야 하는 책무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아우성과 분노가 있다. 회한과 탄식이 있다. 보기 싫어도 보이지만 그것이 무언지는 잘 모르겠기에 그것을 적기 위해서 그것을 더 자세히 보아야 하는 운명. 시인은 그 운명을 황홀한 한때로, 희열의 순간으로 받아들인다.
■ 세계의 (비)독해와 다시 삶을 향한 언어
여러 생을 건너와
오직 천지 가득 명랑하게 뛰노는 빗소리
빗소리
-「빗소리 경전」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은, 시에 등장하는 숱한 ‘나’는 세계를 독해할 수 없다. 독해할 수 없음을 시인 또한 알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시인은 ‘불립문자’를 쓴다. 불립문자는 안개처럼 끝없이 모호하고 계속해서 지워져 쉽사리 읽을 수 없다. 그것은 경직되고 가시적인 인간의 언어와 대비된다. 시작과 끝이 확연한 인간의 세계와는 달리 불립문자의 세계는 한 존재가 다른 존재로 변하고, 끝과 시작이 부드러운 원형으로 맞닿아 있는 듯하다. 마치 윤회하는 삶처럼. 이토록 해석 불가능한 세계의 삼라만상을 독해하려는 시인의 노력은 아이러니하게도 살고자 하는 의지로 연결된다. 삶의 순간과 편린 들은 돌고 도는 것이기에 그 자리에 멈추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영원할 처음이기에 새로운 의지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중세를 적다』를 읽는 일은 여러 생을 건너와 천지 가득 명랑하게 내리는 빗소리를 듣는 것과 같게 된다. 중세에서부터 이어진 삶의 경전이라고 하여도 감히 충분할 것이다.
<Copyright © US BUSINESS NEWS TV,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redistribution prohibited>
Managing Editor 기자 다른기사보기